우분투에서 사용자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핵심 설정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파일들은 시스템 동작, 보안, 사용자 관리 등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잘못 건드리면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거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
(파일 / 경로) | (설명) |
/ | 파일 시스템 계층 구조의 최상위 루트 노드 |
/bin | 기본 명령어 바이너리 저장소(ls, cp 등) |
/etc | 시스템 전역 설정 파일 저장소 |
/var | 가변 데이터(로그, DB) 저장 공간 |
/home | 사용자별 개인 파일 저장소 |
/boot | 부팅 관련 파일 및 커널 이미지 |
/dev | 장치 파일 인터페이스 |
/proc |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 가상 파일 시스템 |
❏ 부팅 및 시스템 초기화 관련
(파일 / 경로) | (설명) |
/etc/fstab | 시스템 부팅 시 마운트할 파일 시스템 목록(디스크 자동 마운트 설정) |
/boot/grub/grub.cfg | GRUB 부트로더 설정 파일(자동 생성됨) |
/etc/default/grub | GRUB 설정을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파일(grub.cfg 생성 시 사용됨) |
/etc/init.d/ , /etc/systemd/ | 서비스 및 데몬 초기화 스크립트(systemd 단위) |
❏ 사용자 및 인증 관리
(파일 / 경로) | (설명) |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 저장 |
/etc/shadow | 암호화된 사용자 비밀번호 정보(root만 읽기 가능) |
/etc/group | 그룹 정보 저장 |
/etc/sudoers | sudo 권한 설정(항상 visudo 명령어로 편집) |
/etc/pam.d/ |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설정 파일(예: common-auth, common-account) |
❏ 네트워크 및 호스트 관련
(파일 / 경로) | (설명) |
/etc/hostname | 현재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 |
/etc/hosts | IP – 도메인 수동 매핑 |
/etc/network/interfaces | (netplan 이전) 네트워크 설정(구버전) |
/etc/netplan/ | 현재 우분투 버전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정 YAML 파일 |
/etc/resolv.conf | DNS 서버 설정(systemd-resolved가 관리) |
❏ 보안 및 접근 제어
(파일 / 경로) | (설명) |
/etc/ssh/sshd_config | SSH 데몬 설정(포트, 로그인 방식 등) |
/etc/hosts.allow , /etc/hosts.deny | TCP Wrappers를 통한 접근 제어 |
/etc/firewalld/ , /etc/ufw/ | 방화벽 설정(기본은 UFW 사용) |
/etc/security/limits.conf | 사용자별 리소스 제한 설정(파일 수, 메모리 등) |
❏ 시스템 설정 및 환경
(파일 / 경로) | (설명) |
/etc/environment | 시스템 전역 환경 변수 |
/etc/profile , /etc/bash.bashrc | 로그인 쉘 초기화 스크립트(전역) |
~/.bashrc , ~/.profile | 개별 사용자 쉘 환경 설정 |
❏ 로깅 및 모니터링
(파일 / 경로) | (설명) |
/var/log/syslog | 시스템 전반 로그 |
/var/log/auth.log | 인증 및 보안 관련 로그 |
/var/log/dmesg | 커널 메시지 로그 |
/var/log/apt/ |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 로그 |
❏ 패키지 및 서비스 관리
(파일 / 경로) | (설명) |
/etc/apt/sources.list | APT 패키지 저장소 목록 |
/etc/systemd/system/ | 사용자 정의 systemd 서비스 파일 위치 |
/lib/systemd/system/ | 시스템 기본 서비스 파일 위치 |
❏ 크론 및 자동 실행
(파일 / 경로) | (설명) |
/etc/crontab | 시스템 전역 크론 작업 |
/etc/cron.d/ , /etc/cron.daily/ 등 | 디렉토리별 주기적 작업 |
~/.crontab (crontab -e 로 접근) | 사용자별 크론 작업 |
파일들을 용도별로 구분해 정리한 표들입니다.
파일 수정 전 반드시 백업을 생성하고 man 페이지(man 5 <filename>)를 참조할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