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 역에 대한 모든 설명은 ChatGPT의 도움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
언젠가는 전국의 모든 지하철역을 노선을 따라 걸어보고 싶었는데, 그 첫 번째로 1974년 8월 15일에 개통된 수도권 최초의 전철인 1호선을 최서단인 인천역에서 최북단인 연천역까지 모든 역을 거쳐 걸어보기로 했습니다.
● 2일차(대방역 ~ 도봉산역)
대방역에서 출발하여 노량진역으로 향합니다.
26. 노량진역
역사 : 1900년에 개통된 한국 최초의 철도 노선인 경인선의 한 역으로, 역사의 유래는 인근에 위치한 노량진 시장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특징 : 유명한 노량진 수산시장과 컵밥 거리로 알려져 있으며, 수험생들이 많이 모이는 학원가가 밀집해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대방역에서 노량진역으로 이동합니다. 가는 길에 동작 반려견 공원이 있습니다.
노량진역에 도착했습니다. 노량진역에서 조금 걸어가니 컵밥 거리가 있습니다. 사육신공원이 보입니다. 둘러보고 싶었지만 나중을 기약하고 용산역으로 계속 걸어갑니다. 용산역까지는 거리가 꽤 멀고, 한강대교와 노들섬을 건너갑니다.
27. 용산역
역사 : 1900년에 개통된 용산역은 경의중앙선과 KTX, ITX 등 다양한 노선이 교차하는 중심역입니다.
특징 : 용산은 과거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였으며, 용산 전자상가로도 유명합니다. 지금은 대규모 재개발로 용산역 일대에 현대적인 랜드마크가 많습니다.




용산역에 도착했습니다. 남영역으로 가는 길에 4호선 신용산역과 삼각지역을 지나갑니다. 저 멀리 남산타워가 보입니다.
28. 남영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남영역은 서울역과 인접해 있으며, 주로 서울 교외로 가는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합니다.
특징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전쟁기념관과 인접해 있어 군사 역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남영역입니다. 남영역에서 서울역까지 가는 길도 옆으로 4호선 역이 같이 있습니다.
29. 서울역
역사 : 1925년에 개통되었으며, 한국 철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습니다. 경부선과 경의중앙선의 종착역이자 KTX의 주요 허브입니다.
특징 : 한국의 대표적인 철도역으로, 서울의 중심을 이루는 대중교통의 중심지입니다. 2010년 서울역 고가공원이 만들어져 서울역 주변이 재개발되었습니다.



서울역에 도착했습니다. 서울역에서 시청역으로 걸어가며 ‘ChatGPT’에게 1호선 역들 중 지상이 아닌 지하에 있는 역들을 물어봅니다. 숭례문이 보입니다
ChatGPT : 서울 지하철 1호선에서 지하에 위치한 주요 역들과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구간
- 청량리역부터 서울역까지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입니다.
- 지하역: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시청역, 서울역
- 청량리역부터 서울역까지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입니다.
- 서울 이남 구간
- 서울역 이후부터 지상 구간으로 전환됩니다. 다만, 일부 구간은 지하로 이어집니다.
- 동묘앞역 및 신설동역 등도 지하에 속합니다.
- 서울역 이후부터 지상 구간으로 전환됩니다. 다만, 일부 구간은 지하로 이어집니다.
이외에 대부분의 1호선 구간은 지상으로 운행되며, 서울 내 중심부 구간에서만 주로 지하로 이어집니다.
30. 시청역
역사 : 1983년 2호선 개통 당시 함께 개통되었으며, 서울특별시청과 인접해 있어 서울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합니다.
특징 : 근처에 덕수궁, 서울광장 등이 있어 서울의 역사와 문화가 밀접한 곳입니다. 서울광장에서는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합니다.



시청역 5번 출구입니다. 시청역부터 1호선도 지하라 역 출구를 확인하고 지나갑니다.
시청역 주변은 관광객도 많고, 광장을 지나 종각역으로 향합니다.
31. 종각역
역사 : 1983년에 개통된 1호선 역으로, 종로 일대의 핵심 상업 및 유흥지구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징 : 젊은 층에게 인기 있는 카페, 영화관 등이 밀집해 있으며, 청계천과도 가까워 산책이나 휴식에 좋은 장소입니다. 역명은 인근의 보신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종각역 5번 출구에 도착했습니다. 근처에 청계천이 있습니다. 종각역까지 2시간 30분을 걸었으니 잠시 쉬어갑니다. 제기동까지는 역들 간격이 짧은 것 같습니다.
32. 종로3가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1호선과 1985년 3호선, 1985년 5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입니다.
특징 : 인근에 종묘와 익선동 한옥마을이 있어 전통적인 서울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낡은 극장들과 전통시장이 밀집해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종로3가역 1번 출구를 지나 종로5가역으로 향합니다. 오늘 길에 무료 급식소도 있어서 길에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가는 길에 종묘 공원이 있습니다.
33. 종로5가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역으로, 종로를 따라 위치한 상업지구의 중심에 있습니다.
특징: 광장시장과 가까워 전통 시장 음식과 문화가 살아 있는 곳입니다. 오랜 역사와 함께 서민 경제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종로5가역 12번 출구에 도착했습니다. 바로 앞 횡단보도를 건너면 광장시장이 있습니다.
34. 동대문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1호선과 4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입니다.
특징 :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동대문 패션 타운과 연결되어 있어 패션과 디자인 산업의 중심지입니다. 동대문이라는 이름은 서울 성곽의 동쪽 문에서 유래했습니다.


홍인지문을 지나 동대문역 1번 출구에 도착합니다.
35. 동묘앞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역으로, 동묘앞의 동묘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특징 : 동묘벼룩시장과 인접해 있어 서울에서 가장 큰 벼룩시장 중 하나로 유명합니다. 주말마다 사람들이 몰려 다양한 중고물품을 사고팝니다.


동묘앞역 1번 출구를 지나갑니다.
36. 신설동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신설동역은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출발역이기도 합니다.
특징 : 지하철 역사 내에서 전통적인 느낌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변에 신설동역 지하 상가가 있습니다.


신설동역 12번 출구를 지나 제기동역으로 갑니다.
37. 제기동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제기동역은 서울약령시와 인접해 있어 한약재 시장으로 유명합니다.
특징 : 제기동 일대는 서울의 전통 약재상가가 있는 곳으로, 서울약령시는 한약재와 관련된 다양한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명소입니다.


제기동역 6번 출구에 도착했습니다.
제기동역에서 청량리역까지의 길은 서울약령시, 경동시장, 청과물 도매시장으로 인해 사람들로 붐빕니다.
38. 청량리역
역사 : 1911년에 개통된 청량리역은 경원선과 중앙선의 주요 역으로, KTX와 ITX 등 고속열차가 정차하는 곳입니다.
특징 : 대규모 전통 시장인 경동시장과 가까워 다양한 먹거리와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으며, 청량리역의 재개발로 현대적인 상업시설도 들어서고 있습니다.

청량리역까지 오는 길은 사람이 너무 많아, 사람을 피해서 걷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39. 회기역
역사 :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회기역도 생겨났습니다.
특징 : 경희대와 한국외대가 가까워 대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며, 주변에 대학가의 분위기가 물씬 풍깁니다.



회기역에서 철길 옆 담장을 따라 외대앞역까지 걸어갑니다. 가는 길에 철길 건널목이 있습니다.
40. 외대앞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역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와 인접해 있습니다.
특징 : 외국어 대학의 특성상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주변에 대학가 특유의 활기가 넘칩니다.

외대앞역 도착입니다.
41. 신이문역
역사 : 1974년에 개통된 신이문역은 경원선의 작은 역 중 하나입니다.
특징 : 조용한 주거지구에 위치해 있으며, 석계역까지 이어지는 산책로가 있어 걷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신이문역입니다. 1번 출구 옆에 석계역까지 인도 옆으로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걷기도 좋고 쉬어가기도 좋습니다.
42. 석계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석계역은 1호선과 6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입니다.
특징 : 주변은 주로 주거 지역으로, 역세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석계역을 지나면서 길이 조용해서 좋습니다.
43. 광운대역
역사 : 1936년에 개통된 역으로, 초기에는 “월계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특징 : 광운대학교와 인접해 있어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며, 과거부터 화물역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광운대역에 도착했습니다.
44. 월계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역으로, 비교적 작은 역이지만 주거 지역과 중랑천을 따라 위치해 있어 주변 환경이 쾌적합니다.
특징 : 중랑천과 가까워 산책이나 자전거 타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월계역에서 녹천역까지는 중랑천을 옆에 두고 걸어갑니다.
45. 녹천역
역사 : 1996년에 개통된 역으로, 1호선 중 작은 역 중 하나입니다.
특징 : 중랑천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창동역과 가까워 주거지에서 접근성이 좋은 역입니다.

녹천역을 지나 창동역으로 갑니다.
46. 창동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창동역은 1호선과 4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입니다.
특징 : 서울 동북부의 교통 요충지로, 최근 창동역 일대는 대규모 개발로 인해 문화 및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 중입니다.


창동역에 도착했습니다. 하늘이 맑습니다. 방학역까지 멀지 않으니 방학역에 도착하면 쉬었다 가야겠습니다.
47. 방학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방학역은 1호선 노선의 주요 역 중 하나입니다.
특징 : 도봉구의 주거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근처에는 방학천과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이 자주 이용합니다.



방학역 벽에는 벽화가 있습니다. 인도 위로 1호선 선로가 보입니다. 이 길을 따라가면 도봉역입니다.
48. 도봉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도봉역은 서울 도봉구에 위치해 있으며, 주거지와 가까운 생활 밀착형 역입니다.
특징 : 도봉산으로 가는 관문으로,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합니다.



도봉역에 도착했습니다. 이 길을 따라 도봉산역까지 가면 2일차 여정이 종료됩니다. 북한산 둘레길 안내가 보이네요. 기회가 되면 북한산 둘레길도 걸어봐야겠네요.
49. 도봉산역
역사 : 1985년에 개통된 도봉산역은 도봉산으로 가기 위한 주요 기점이 되는 역입니다.
특징 : 도봉산을 오르려는 등산객들이 주로 이용하며, 역 주변은 도봉산 국립공원의 입구로 자연 경관이 아름답습니다.


2일차 목적지였던 도봉산역에 도착했습니다. 뒤에 보이는 산이 도봉산일까요?
● 2일차 이동거리
대방역 – 노량진역 – 용산역 – 남영역 – 서울역 – 시청역 – 종각역 / 11km
종각역 – 종로3가역 – 종로5가역 – 동대문역 – 동묘앞역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4.7km
제기동역 – 청량리역 – 회기역 – 외대앞역 – 신이문역 – 석계역 – 광운대역 / 6.8km
광운대역 – 월계역 – 녹천역 – 창동역 – 방학역 – 도봉역 – 도봉산역 / 8.1km
2일차는 네이버 지도 기준 30.6km를 걸었습니다.